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3편)은 파이썬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3편)
이 책은 파이썬의 기초 문법부터 시작하여 판다스, 넘파이, IPython, 맷플롯립, 주피터 등 다양한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신생아 이름 통계 자료, 대선 데이터베이스 등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습을 진행합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부터 데이터 분석을 심화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까지 모두에게 유용한 책이기도 합니다. 파이썬과 판다스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이 책을 통해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술을 빠르게 익힐 수 있습니다.
이 책의 특징을 나열해보자면,
파이썬과 판다스의 최신 버전을 기준으로 내용을 업데이트했습니다.
다양한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습을 진행합니다.
웨스 맥키니, 파이썬 판다스 프로젝트 창시자가 저술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부터 데이터 분석을 심화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까지 모두에게 유용한 책입니다.
마지막으로,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3판)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라이브러리의 사용법을 배우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하여 파이썬을 사용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Act as CODEX ("COding DEsign eXpert"), an expert coder with experience in multiple coding languages. Always follow the coding best practices by writing clean, modular code with proper security measures and leveraging design patterns. You can break down your code into parts whenever possible to avoid breaching the chatgpt output character limit. Write code part by part when I send "continue". If you reach the character limit, I will send "continue" and then you should continue without repeating any previous code. Do not assume anything from your side; please ask me a numbered list of essential questions before starting. If you have trouble fixing a bug, ask me for the latest code snippets for reference from the official documentation. I am using [MacOS], [VSCode] and prefer [brew] package manager. Start a conversation as "CODEX: Hi, what are we coding today?"
신규 공무원을 위한 올바른 공문서 작성 방법 기초편 2탄입니다. 문장의 의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띄어쓰기를 잘 해야 합니다. 공문에서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거나 잘못하면 의미가 잘못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웃긴 띄어쓰기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도로표지판입니다. "동시흥분기점" 입니다. 물론 지금은 "동시흥 분기점"으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 변경 전
동시흥분기점
▼ 변경 후
동시흥 분기점
이렇게 같은 말이리도 띄어쓰기에 따라 완전 의미가 달라집니다. 오늘은 띄어쓰기 요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띄어쓰기 기본 원칙
띄어쓰기 기본 원칙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입니다. 서로 다른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입니다. 다만, 합성어는 하나의 단어이므로 띄어 쓰지 않고 붙혀 씁니다.
띄어쓰기 기본 원칙
예를 들면,
완료예정은 완료∨예정, 업무계획은 업무∨계획, 추진실적은 추진∨실적으로 띄어쓰기 합니다.
각 단어 띄어쓰기
2. 띄어쓰기 규정 11개
띄어쓰기 규정입니다. 기본원칙을 포함 11개 항이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저장해 놓고 계속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중요한 몇가지만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띄어쓰기 규정
3. '조사'의 띄어쓰기
조사는 그 앞 말에 붙여 씁니다.
"이/가", "을/를", "에게", "", "도", "마저", "처럼" 등 조사는 그 앞 말에 붙여 씁니다. "학교에서만이라도"와 같이 조사가 연속적으로 붙는 경우에도 조사는 모두 앞 말에 붙여 씁니다.
조사 띄어 쓰는 방법
4.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
의존 명사는 띄어 씁니다. "간", "내", "‘외", "‘중", "시", "‘데", "‘바", "대로", "만큼", "뿐", "채" 등 의존명사는 앞 말과 띄어 씁니다. 의존명사는 조사와 구별하는 것이 쉽지는 않아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만큼", "뿐"은 의존명사인 경우에는 "아는 만큼", "공부를 잘할 뿐만 아니라"와 같이 띄어 씁니다. 하지만, 조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식만큼", "공부뿐만 아니라"와 같이 붙여 씁니다.
의존 명사 띄어 쓰는 법
단, "이틀간/한 달간/삼십 일간" 등과 같이 "동안"을 나타내는 말은 접미사이므로 붙여 써야 합니다.
5. '단위 명사'의 띄어쓰기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씁니다. 따라서 "차 한 대", "연필 한 자루", "한 개", "집 열 채"와 같이 띄어 씁니다. 제일 많이 틀리게 쓰는 것 중 하나가 금액을 쓸때입니다. 금액을 쓸 때 "일만원"으로 쓰지만, "일만 원"이 올바른 띄어쓰기 입니다. "일만 원"으로 작성하면 "일만원"으로 수정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단위 명사 띄어 쓰는 법
6. '수'의 띄어쓰기
수를 적을 때에는 "만" 단위로 띄어 씁니다. 수는 "십오억 오천사백육십이만 팔천구백사십사", "12억 5462만 8944"과 같이 만 단위로 띄어 씁니다.
7 '이름'의 띄어쓰기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씁니다.
예를 들어, "성과 이름 : 홍길동", "성명과 호칭어 : 이하니 박사, 김마리아 씨", "성과 관직명 : 이순신 장군" 처럼 씁니다. 다만,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남궁 민’, ‘황보 혜정’과 같이 띄어 쓸 수 있습니다.
띄어쓰기 규정 중 몇가지만 알아보았습니다. 띄어쓰기 규정만으로 띄어쓰기를 다 잘할 수는 없습니다. 계속 연습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리고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문서를 취합을 하는 경우, 문서마다 다른 설정으로 인해 편집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막상 내용보다는 양식 맞추는데 시간이 걸려 힘들 때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 문서의 기본설정을 동일하게 맞추어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문서의 통일성도 있고, 효율도 높아집니다.
신규공무원들을 위해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한글 설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할게 생각보다 많은거 같아 나누어서 작성을 합니다. 편집용지 설정, 스타일 정리, 기본글꼴 휴먼명조로 설정, 휴먼명조 글꼴정리, 겹낫표 사용 설정, 상용구 등록 등을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번 따라서 설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글 기본 설정하기
1. 사용 전 기본 설정
▼ 용지 여백
가장 먼저 한글문서의 편집 용지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한글문서의 편집 용지 기본설정은 여백이 많습니다. 보고서 등 문서를 작성할 때 여백을 조정하여 사용합니다. 용지 여백을 통일하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여백이 다른 경우 문서 모양 자체가 완전 달라집니다.
도구 > 파일 > 편집 용지 > 기본 에서 용지여백을 조정합니다. A4 기준입니다. 위쪽여백 15, 머리말 10, 왼쪽 20, 오른쪽 20, 꼬리말 10, 아래쪽 10 입니다. 아래쪽 여백을 15를 주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이게 정답은 아닙니다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기관마다 정해진 편집 용지 설정이 있다면 그걸 사용하면 됩니다.
편집 용지 설정하기
▼ 스타일 정리
문서의 스타일을 정리합니다. 스타일에 따라서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바탕글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를 해서 사용을 합니다. 특이한 스타일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만, 가급적 심플한 스타일로 작성하는게 좋습니다. 다른 사람의 문서를 취합하거나 수정할 때 스타일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서식 > 스타일 > 스타일 내보내기 > 파일 선택 > Normal(한글기본 스타일) > 바탕글 제외하고 모두 삭제 > 닫기 > 저장으로 스타일을 정리합니다. 한글 2010, 2018 등 버전에 따라 조금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만, 방법은 동일합니다.
스타일
스타일 화면에서 하단의 디스크 모양을 클릭하여 스타일 내보내기를 합니다.
스타일 내보내기
파일 선택에서 한글 기본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한글 2010 버전에서는 normal을 선택하면 됩니다.
스타일 내보내기 파일 선택
그러면, 좌측에 스타일이 생깁니다. 여기에서 바탕글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를 합니다.
한글 기본 스타일
다른 스타일은 삭제한 화면입니다.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을 합니다.
바탕글 제외하고 삭제
스타일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장을 합니다.
스타일이 바탕글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 되었습니다. 저장을 완료하였는데도 스타일 목록이 기존과 같다면 하단의 폴더모양을 클릭하여 스타일을 가져옵니다. 가져오기 화면에서 한글 기본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스타일 목록을 확인하세요
▼ 휴먼명조 글꼴 정리하기
휴먼명조 글꼴에는 TTF와 HTF가 있으면 서로 글꼴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휴먼명조로 작성하더라도 글자체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한글에서 사용하는 글꼴은 HTF 입니다. 그래서 TTF는 삭제를 하여야 합니다. 이것은 지난번에 자세하게 작성을 하였습니다. 그 글을 참고하세요.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겹낫표를 은근히 많이 사용을 합니다. 보통 ctrl + f10키를 눌러 문자표를 클릭 후 겹낫표를 입력합니다. 하지만, 입력기 환경 설정에서 겹낫표 입력을 체크하면 쉽고 간편하게 겹낫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입력기 환경 설정
‘Alt+F2’(입력기 환경설정) > 기타(탭) > 겹낫표 입력을 체크합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겹낫표를 입력하고자 하는 곳에 커서를 위치한 후 "shift + [" 또는 "shift + ]" 를 누릅니다.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낫표 (「」) 도 간편하게 입력이 됩니다. 그냥 "대문자괄호 [ " 또는 "대문자괄화 ]" 를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겹낫표, 낫표 입력
▼ 상용구 등록
가운데 점, 연도 등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미리 등록해서 사용하면 편합니다. 가운데 점과 연도 등을 상용구에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trl + f3을 누르면 상용구 등록창이 나옵니다. + 버튼을 클릭하여 상용구를 등록합니다. 준말에 가운데 점을 일력 후 본말에는 · (middle dot)을 입력합니다. 가운데 점은 ctrl + f10을 눌러 문자표에서 HNC 입력탭에서 HNC코드에서 0027을 입력하면 됩니다. ▼ 한글 엑셀 등 문서 작성 시 가운데 점 (˙) 쉽게 찍는 법
연도의 경우는 같은 방식으로 입력을 합니다. ctrl + f10를 누른 후 문자표에서 유니코드 탭에서 유니코드에 2027을 입력하면 됩니다.
상용구 등록하기
▼ 기타 환경설정
표를 작성할 때 많이 쓰이는 기능입니다. "표 안에서 <Tab>으로 셀 이동"에 체크를 하여야 표 안에서 탭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도구 > 환경설정 > 편집탭에서 체크를 합니다.
그리고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가끔 '수정' 상태로 변경이 되어 글자를 입력하면 삭제가 되면서 수정이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 잠금'을 체크합니다. 그러면 항상 삽입으로만 글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한글 2010 버전에서는 기타 탭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원래 국가자격증인 산업기사 는 2년제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하셔야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데요.
과정평가형의 장점은 고졸 학력으로도 과정평가형 이수 시 산업기사자격증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기 때문에 굉장히 매력있는 과정입니다. 더군다나 정보보안산업기사 자격은 굉장히 어려운 자격중에 하나이죠.
일반 검정자격에 비해 난이도도 하향되어 출제될 예정입니다. 정보보안산업기사 자격증 공부도 하고 리눅스마스터, 네트워크관리사, PC정비사, 컴퓨터활용능력, ITQ, 산업보안관리사 등 취업에 필요한 IT자격증 역시 같이 취득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정보보안기사 역시 취득에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기존 수강생들의 경우 6개월만에 국가공인 IT자격을 최대 12개 까지 취득하고 수료하였습니다.